DevOps (45) 썸네일형 리스트형 [Docker 실습] FROM: 베이스 이미지 생성 FROM: 베이스 이미지 생성1. 연습용 폴더를 생성한 후에 폴더에 파일을 만들어 보자.mkdir docker-practice나는 vscode로 파일을 생성했다. 이 때 파일명은 Dockerfile로 한다. 2. 파일을 작성해보자. => 나는 어떤 컨테이너가 띄워졌을 때 컨테이너 환경에 jdk17이 깔려있었으면 좋겠어 3. 이미지를 만들어보자. vscode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이 때 마지막에 상대경로를 입력해야한다. docker build -t my-jdk17-server . 4. 빌드가 잘 됐는지 확인이미지가 생성되었다. 5. 태그명을 입력할 수도 있다.docker build -t my-jdk17-server:beta태그명을 beta로 입력했다. 정상적으로 이미지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Docker 기본] Dockerfile 이란? Dockerfile 이란?Docker 이미지는 Dockerhub에서 다운받아서 사용한다. 이 이미지들은 누군가가 만들어서 올리는 것이다. 그럼 이 이미지는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Dockerfile을 톨해서 Docker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 FROM: 베이스 이미지 생성From이라는 문법은 베이스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은 한다. Docker 컨테이너는 특정 초기 이미지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셋팅을 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초기 이미지를 베이스 이미지라고 한다. 우리가 윈도우 컴퓨터를 실행시켜보면 인터넷, 그림판 등의 기본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이미지도 이와 같다. 컨테이너를 새로 띄워서 미니 컴퓨터 환경을 구축할 때 기본 프로그램이 어떤게 깔려 있으면 좋겠는 지 선택하는 옵션이라고 생.. [Docker 실습] Docker로 MongoDB 실행시켜보기 Docker로 MongoDB 실행시켜보기1. docker hub에서 MongoDB 이미지 있는지 확인하기 2. 폴더를 먼저 만들자.mkdir 3. docker 이미지 실행하기 docker run -e MONGO_INITDB_ROOT_USERNAME=root -e MONGO_INITDB_ROOT_PASSWORD=1234 -p 27017:27017 -v /Users/baeseeun/Develop/docker-mongodb/mongodb_data:/data/db -d mongo 3. mongdb 컨테이너에 접속해보자.docker-mongodb % docker exec -it 63a bashmongosh 4. 호스트 저장공간에 mongodb 데이터가 생성됐는지 확인해보자. * Inflearn(인프런) .. [Docker 실습] Docker로 PostgreSQL 실행시켜보기 Docker로 PostgreSQL 실행시켜보기1. Docker hub에 접속해서 postgres 이미지가 있는지 확인해보자.이미지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2. 폴더를 만든 뒤 위의 명령어를 참고해서 postgres 를 실행시켜 보자 . pwd 로 현재 경로를 복사해두면 편하다. docker run -e POSTGRES_PASSWORD=1234 -p 5432:5432 -v /Users/baeseeun/Develop/docker-postgresql/postgresql_data:/val/lib/postgresql/data -d postgres docker ps로 확인 결과 정상적으로 다운되었다. 3. pg 에 커넥션 확인 [Docker 실습]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3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_Volume을 사용해보자.mysql 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의 일부 공간에 저장해보자. * mysql 이 이미 실행중이어서 오류가 날 경우sudo lsof -i:3306 sudo kill 'PID' 1. mysql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호스트 경로로 들어가보자. 폴더 만드는 리눅스 명령어이다. 참고하자. 2.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경로와 mysql 이 저장되는 경로를 적어준다. docker run -e MYSQL_ROOT_PASSWORD=1234 -d -p 3306:3306 -v /Users/baeseeun/Develop/docker-mysql/mysql_data:/val/lib/mysql mysql 3. docker 로 mysql에 접속해서 데.. [Docker 실습]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2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_Volume이 필요한 이유1. docker bash로 mysql에 접속해보자 2. mysql 명령어를 입력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해보자. 3. 실행중인 mysql 를 삭제해보자.docker rm -f 6d5 4. 다시 mysql 컨테이너를 띄워보자docker run -e MYSQL_ROOT_PASSWORD=1234 -d -p 3306:3306 mysql 5. bash 로 mysql을 실행한뒤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해보자. 아까 생성한 mydb가 보이지 않는다. 볼륨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삭제된 것이다. 다음 실습을 통해 볼륨을 활용해서 mysql 컨테이너를 띄우는 방법을 알아보자. * Inflearn(인프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 [Docker 실습]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1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1. MySQL 이미지 도커 hub 에 있는지 확인하기 => 도커 허브에서 MySQL 을 검색하고 클릭해보면 사용법이 나와있다. 위의 그림은 MySQL 이미지 생성 후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명령어이다. mysql을 다운받은 후 컨테이너를 조회해보면, mysql이 중지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그를 조회했다. password가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행되지 않은 것이다. 2. 도커허브의 설명대로 password를 다시 셋팅해보자.명령어 : docker run -e MYSQL_ROOT_PASSWORD=1234 -d -p 3306:3306 mysql 제대로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설정한 환경변수가 실제 컨테이너 안에 제.. [Docker 기본] Docker Volume(도커 볼륨) 컨테이너의 문제점프로그램에 기능이 바뀔때마다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서 컨테이너를 실행시켜야 한다. 이 때 기존 컨테이너에서 변경된 부분을 수정하지 않고, 새로운 컨테이너를 만들어서 통째로 갈아 끼우는 방식을 많이 쓴다. 기존 컨테이너를 새로운 컨테이너로 교체하면, 기존 컨테이너 내부에 있던 데이터도 같이 삭제된다. 만약 MySQL을 실행 시키는 컨테이너였다면 MySQL의 데이터도 같이 삭제된다. 따라서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면 안되는 경우에는 볼륨(Volume)을 활용해야 한다. Docker Volume 이란? 도커 컨테이너에서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컨테이너 자체의 저장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 호스트의 저장 공간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형태이다. 볼륨(Volume.. 이전 1 2 3 4 5 6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