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45)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실습] EC2 셋팅하기 - 스토리지 구성 스토리지란?우리가 쓰고 있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은 하드디스크를 가지고 있다. EC2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저장 공간이 필요한데 이 저장공간을 EBS라고 부른다. 즉, EBS란 EC2 안에 부착되어 있는 일종의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EBS 같은 저장 공간을 좀 더 포괄적인 용어로 스토리지(Storage), 볼륨(Volume)이라 부른다. 스토리지 구성1. 프리티어는 30기가 까지 무료로 제공된다. 30기가를 입력하고 볼륨유형은 gp3로 설정하자. 2. 셋팅이 완료되었다. 인스턴스 시작버튼을 눌러보자. 3. EC2 대시보드로 가보자. 3. 인스턴스(실행 중) 을 클릭해보자. * 인프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AWS 실습] EC2 셋팅하기 - 보안그룹 설정 네트워크 설정 1. 네트워크 설정의 편집 버튼을 클릭한다 . 2. 방화벽(보안 그룹) 보안 그룹 생성을 선택한다. 3. 인바운드 보안 그룹 규칙 외부에서 EC2로 요청이 들어올 때 어떤 것을 허용할 지 정하는 규칙 ssh로 22번 포트가 설정이 되어 있다. ssh란 원격 접속을 위한 경로이다. ec2에 원격으로 접속해서 작업을 할 예정이므로 포트가 허용되어 있어야 접근할 수 있다. 어떤 컴퓨터에서든 EC2에 접근할 수 있게 만드는 규칙인 셈이다. 만약 특정 아이피만 EC2에 접근하게 하고 싶으면 소스 유형에 사용자 지정을 선택하면 된다. 보안그룹 규칙을 하나 추가해 보자. 유형은 HTTP로 선택한다. 그러면 포트는 자동으로 80으로 지정될 것이다. 보안 그룹 이란?보안 그룹이란 AWS 클라우.. [AWS 실습] EC2 셋팅하기 - 기본 설정 기본 설정 셋팅하기EC2 라는 컴퓨터를 한 대 빌려보자. 화면에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보자. 1. 이름 및 태그나중에 여러 서버를 사용하게 될 수 있다. 나중에 EC2 인스턴스 끼리 각각 분리해서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을 쓰면 된다. 보통은 서비스이름-서버 로 이름을 짓는 경우가 많다. 2.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어떤 OS를 가진 컴퓨터를 쓸 것인지 선택하는 창이다. Ubuntu를 선택하자. 버전은 선택된 것을 그대로 쓰자 3. 인스턴스 유형인스턴스란 EC2에서 빌리는 컴퓨터 한 대를 의미하는 하나의 단위이다. 인스턴스 유형은 컴퓨터의 사양을 의미한다. 사양이 좋을 수록 무거운 프로그램을 돌리기 좋다. 프리티어를 선택하자. 4. 키 페어(로그인)ec2 컴퓨터에 아무나 접근해서는 안된다.. [AWS 실습] 리전(Region) 선택하기 리전(Region) 선택하기1. 먼저 AWS에 접속해 로그인을 한다. 2. 상단에 EC2를 검색해보자. EC2 클릭 3. 우측상단에서 리전을 선택한다. => 서울을 선택하면 된다. 리전(Region)이란?리전이란 인프라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배포한 각각의 데이터 센터를 의미한다. EC2는 컴퓨터를 빌려서 원격으로 접속해서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이 컴퓨터들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해있다. 이렇게 컴퓨터들이 위치한 위치를 AWS에서 리전(region)이라 한다. 리전(Region)의 특징AWS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리전을 보유하고 있다. 각 Region은 고유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리전(Region)의 선택 기준사람들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 [AWS 기본] EC2(Elastic Compute Cloud)란? EC2(Elastic Compute Cloud)란?컴퓨터를 빌려서 원격으로 접속해 사용하는 서비스 이다. EC2(Elastic Compute Cloud)를 왜 배울까?서버를 배포하려면 컴퓨터가 필요하다. 내가 가진 컴퓨터에서 서버를 배포해 다른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접근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컴퓨터를 24시간 켜놓아야 하고,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AWS EC2는 여러 부가기능(로깅, 오토스케일링, 로드밸런싱 등)을 많이 가지고 있다. 현업에서도 실제 서버를 배포할 때 AWS EC2를 많이 사용한다. 백엔드 서버를 배포해야 할 때면 EC2에 서버를 배포해서 사용한다. *프론트엔드는 EC2보다는 vercel, netlify, AWS S3를 사용해서 주로 배포.. [AWS 기본] 배포(Deployment)란? 배포(Deployment)란?배포란 다른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자가 만든 웹페이지나 서버를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려면 인터넷에 배포가 되어 있어야한다. 개발을 할 때는 localhost에서 진행했을 것이다. 그러나 localhost는 다른 컴퓨터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한 주소이다. 배포를 하게 되면 IP, 도메인 같은 고유의 주소를 부여받게 되고, 다른 컴퓨터에서 그 주소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 인프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Docker 실습] Spring boot, MySQL 컨테이너 동시에 띄워보기 Spring boot, MySQL 컨테이너 동시에 띄워보기실제로 서비스를 구성하다 보면 백엔드와 db를 같이 띄우는 경우가 많다. Spring boot, MySQL컨테이너를 동시에 띄워보자. 1. start.spring.io 2. 간단한 코드를 작성해보자. AppController.javapackage com.example.springWithMySQL;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RestControllerpublic class App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 [Docker 실습] MySQL, Redis 컨테이너 동시에 띄워보기 MySQL, Redis 컨테이너 동시에 띄워보기1. 폴더를 생성하고 vs code로 폴더를 오픈한다. 2. 폴더에 compose.yml 파일 생성services: my-db: image: mysql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pwd1234 volumes: - ./mysql_data:/var/lib/mysql ports: - 3306:3306 my-cache-server: image: redis ports: - 6379:6379 3. 실행 docker compose up -d 4. docker compose psmysql, redis 둘 다 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docker compose..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