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AWS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기본] Route53이란?/ DNS란? Route53이란?도메인을 발급하고 관리해주는 서비스Route53을 조금 더 전문적인 용어로 표현하면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이다. DNS(Domain Name System) 란?도메인(Domain)이 없던 시절에는 특정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 IP주소를 사용했다. (IP는 특정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 역할)하지만 IP 주소는 많은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하기 불편했다. 때문에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로 컴퓨터의 주소를 나타낼 수는 없을까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IP주소를 문자로 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왜냐하면 컴퓨터가 처리하기 쉬운 값의 형태는 숫자이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숫자로 된 IP 주소를 문자로 된 주소로 변환해주는 하나의 시스템을.. [AWS 실습] Express 서버를 EC2에 배포하기 Express 서버를 EC2에 배포하기1. EC2 인스턴스에 연결해서 원격 접속한다. 2. Express 서버를 구동시키기 위해 먼저 node.js 를 설치한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 sudo su$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ca-certificates curl gnupg && /mkdir -p /etc/apt/keyrings &&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gpgkey/nodesource-repo.gpg.key | sudo gpg --dearmor -o /etc/apt/keyrings/nodesource.gpg && /NODE_MAJOR=20 && /echo "deb [signed-by=/etc/apt/ke.. [AWS 실습] 탄력적 IP 연결하기 탄력적 IP 연결하기탄력적 IP가 왜 필요할까?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IP를 할당받는다. 하지만 이렇게 할당받은 IP는 임시적인 아이피이다. EC2 인스턴스를 중지시켰다가 다시 실행시키면 IP가 바뀌어 있다. 인스턴스를 재실행할 때마다 IP가 바뀌어 있다면 불편할 것이다. 따라서 고정 IP를 할당받아야 한다. 탄력적 IP 설정 방법1. 퍼블릭 IPv4 주소 확인 2. 인스턴스 중지 후 재시작 해보자. IP 주소가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탄력적 IP를 발급받아보자. 3. 좌측 메뉴에 네트워크 보안>탄력적 IP 클릭 4. 탄력적 IP 주소 할당 클릭셋팅은 기본값을 유지하고 할당 받는다. 5. 우측 상단의 작업 > 탄력적 IP 주소 연결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연결을 누른다. 6. 인스턴스를.. [AWS 실습] EC2 접속하기 EC2 접속하기1. 실행 중인 인스턴스 ID를 클릭해보자. 퍼블릭 IPv4 주소: 인스턴스의 IP 주소인스턴스 상태 : 컴퓨터가 실행중인지 대기중인지 상태를 나타낸다. 2. 우측 상단에 인스턴스 상태 버튼이 있다. 인스턴스를 중지, 시작, 재부팅 등을 할 수 있다. 이 때 인스턴스 종료는 삭제이므로 주의하자. 3. 연결 버튼 클릭 연결을 눌러보자. 4. 우리가 만든 인스턴스 컴퓨터에 접속했다. * 인프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AWS 실습] EC2 셋팅하기 - 스토리지 구성 스토리지란?우리가 쓰고 있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은 하드디스크를 가지고 있다. EC2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저장 공간이 필요한데 이 저장공간을 EBS라고 부른다. 즉, EBS란 EC2 안에 부착되어 있는 일종의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EBS 같은 저장 공간을 좀 더 포괄적인 용어로 스토리지(Storage), 볼륨(Volume)이라 부른다. 스토리지 구성1. 프리티어는 30기가 까지 무료로 제공된다. 30기가를 입력하고 볼륨유형은 gp3로 설정하자. 2. 셋팅이 완료되었다. 인스턴스 시작버튼을 눌러보자. 3. EC2 대시보드로 가보자. 3. 인스턴스(실행 중) 을 클릭해보자. * 인프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AWS 실습] EC2 셋팅하기 - 보안그룹 설정 네트워크 설정 1. 네트워크 설정의 편집 버튼을 클릭한다 . 2. 방화벽(보안 그룹) 보안 그룹 생성을 선택한다. 3. 인바운드 보안 그룹 규칙 외부에서 EC2로 요청이 들어올 때 어떤 것을 허용할 지 정하는 규칙 ssh로 22번 포트가 설정이 되어 있다. ssh란 원격 접속을 위한 경로이다. ec2에 원격으로 접속해서 작업을 할 예정이므로 포트가 허용되어 있어야 접근할 수 있다. 어떤 컴퓨터에서든 EC2에 접근할 수 있게 만드는 규칙인 셈이다. 만약 특정 아이피만 EC2에 접근하게 하고 싶으면 소스 유형에 사용자 지정을 선택하면 된다. 보안그룹 규칙을 하나 추가해 보자. 유형은 HTTP로 선택한다. 그러면 포트는 자동으로 80으로 지정될 것이다. 보안 그룹 이란?보안 그룹이란 AWS 클라우.. [AWS 실습] EC2 셋팅하기 - 기본 설정 기본 설정 셋팅하기EC2 라는 컴퓨터를 한 대 빌려보자. 화면에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보자. 1. 이름 및 태그나중에 여러 서버를 사용하게 될 수 있다. 나중에 EC2 인스턴스 끼리 각각 분리해서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을 쓰면 된다. 보통은 서비스이름-서버 로 이름을 짓는 경우가 많다. 2.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어떤 OS를 가진 컴퓨터를 쓸 것인지 선택하는 창이다. Ubuntu를 선택하자. 버전은 선택된 것을 그대로 쓰자 3. 인스턴스 유형인스턴스란 EC2에서 빌리는 컴퓨터 한 대를 의미하는 하나의 단위이다. 인스턴스 유형은 컴퓨터의 사양을 의미한다. 사양이 좋을 수록 무거운 프로그램을 돌리기 좋다. 프리티어를 선택하자. 4. 키 페어(로그인)ec2 컴퓨터에 아무나 접근해서는 안된다.. [AWS 실습] 리전(Region) 선택하기 리전(Region) 선택하기1. 먼저 AWS에 접속해 로그인을 한다. 2. 상단에 EC2를 검색해보자. EC2 클릭 3. 우측상단에서 리전을 선택한다. => 서울을 선택하면 된다. 리전(Region)이란?리전이란 인프라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배포한 각각의 데이터 센터를 의미한다. EC2는 컴퓨터를 빌려서 원격으로 접속해서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이 컴퓨터들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해있다. 이렇게 컴퓨터들이 위치한 위치를 AWS에서 리전(region)이라 한다. 리전(Region)의 특징AWS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리전을 보유하고 있다. 각 Region은 고유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리전(Region)의 선택 기준사람들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