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 개발/Spring

(28)
[Spring 기본] 스프링 빈 조회 스프링 빈 조회 - 기본 ac.getBean(빈이름, 타입)ac.getBean(타입)public class ApplicationContextBasicFindTest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Test @DisplayName("빈 이름으로 조회") void findBeanByName()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Assertions.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
[Spring 기본] 컨테이너에 등록된 모든 빈 조회 컨테이너에 등록된 모든 빈 조회컨테이너에 실제 스프링 빈이 잘 등록되었는지 확인해보자.  public class ApplicationContextInfoTest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Test @DisplayName("모든 빈 출력하기") void findAllBean() { String[] beanDefinitionNames = ac.getBeanDefinitionNames(); for (String beanDefinitionName : beanDefinitionNames) { Obj..
[Spring 기본]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ionConfigApl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ApplicationContext는 인터페이스이다. XML 기반으로 만들 수 있고, 애노테이션 기반으로 만들 수도 있다.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
[Spring 기본] 스프링으로 전환하기 스프링으로 전환하기지금까지는 순수한 자바 코드만으로 DI를 적용했다. 이제 스프링을 사용해보자.   AppConfig 변경  @Configuration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
[Spring 기본] IoC, DI, 컨테이너 IoC, DI, 컨테이너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기존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했다. 한마디로 구현 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조종했다. 반면 AppConfig가 등장한 이후에 구현 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 담당한다.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은 이제 AppConfig가 가져간다. 이렇듯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IoC)라 한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가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 대신 실행하면 그것은 프레임워크이다. (JUnit)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아닌 라이브러리이다..
[Spring 기본]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의 적용 객체 지향 설계 원칙지금까지 객체 지향 설계 원칙에 따라 코드를 수정해보았다. 어떤 원칙이 어떻게 적용됐는지 살펴보자.  SRP 단일 책임 원칙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클라이언트 객체는 직접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실행하는 다양한 책임을 가지고 있음.단일 책임 원칙을 따르면서 관심사를 분리함.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책임은 AppConfig가 담당클라이언트 객체는 실행하는 책임만 담당 DIP 의존관계 역전 원칙프로그래머는 "주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의존성 주입은 이 원칙을 따르는 방법 중 하나다. 새로운 할인 정책을 개발하고, 적용하려고 하니 클라이언트 코드도 함께 변경해야 했다. 기존 클라이언트 코드가 구체화 구현클래스인 FixDiscountPolicy에 ..
[Spring 기본] 새로운 구조와 할인 정책 적용 새로운 구조와 할인 정책 적용이전 포스팅에서 AppConfig를 사용해서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책임과 역할을 분리했다. 이제 새로운 할인 정책을 적용하려면 AppConfig만 변경하면 된다. 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
[Spring 기본] AppConfig 리팩토링 AppConfig 리팩토링현재 AppConfig는 중복되는 부분이 있고, 역할에 따른 구현이 잘 안보인다. 코드를 수정해보자.  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