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는 이제 단순한 자동화 단계를 넘어, 사용자와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맥락을 이해하며 요구사항에 맞게 응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기술 중 하나가 바로 **LLM(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이다
인공지능과 생성형 AI
인공지능(AI)은 사람의 지적 능력을 모사하는 컴퓨터 기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속 텍스트를 인식하거나, 사과·오렌지 등 사물을 분류하는 기술, 또는 머신러닝·딥러닝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취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기술 등이 있다.
이 중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기존 데이터를 분석·분류하는 수준을 넘어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능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기반으로 적절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텍스트를 자연스러운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이 해당된다.
LLM(대규모 언어 모델)이란?
**LLM(Large Language Model)**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인간 언어를 이해하고 새로운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모델.
LLM은 문맥을 이해하고, 대화의 흐름을 유지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은 단순한 문장 완성에서 나아가 코드 작성, 문서 요약, 질의응답, 창작 활동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대표적인 LLM 종류
현재 다양한 기업과 연구기관에서 LLM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중 대표적인 모델은 다음과 같다.
- 제미나이(Gemini): Google DeepMind에서 개발한 차세대 언어 모델로, 멀티모달(텍스트+이미지) 처리에 강점이 있음
- 라마(LLaMA): Meta에서 공개한 경량 오픈소스 LLM으로 연구 및 개인 실험에 활발히 활용됨
- 클로드(Claude): Anthropic이 개발한 모델로 안전성과 대화 품질에 초점을 맞춤
- 딥시크(DeepSeek): 고속 처리와 비용 효율성에 강점이 있는 최근 주목받는 모델
마무리
LLM은 앞으로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 개인화된 서비스와 창의적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AI 서비스 개발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