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Ops/AWS

[AWS 기본] Route53이란?/ DNS란?

Route53이란?


도메인을 발급하고 관리해주는 서비스

Route53을 조금 더 전문적인 용어로 표현하면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이다.

 

DNS(Domain Name System) 란?


도메인(Domain)이 없던 시절에는 특정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 IP주소를 사용했다. (IP는 특정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 역할)

하지만 IP 주소는 많은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하기 불편했다. 때문에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로 컴퓨터의 주소를 나타낼 수는 없을까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IP주소를 문자로 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왜냐하면 컴퓨터가 처리하기 쉬운 값의 형태는 숫자이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숫자로 된 IP 주소를 문자로 된 주소로 변환해주는 하나의 시스템을 만들게 됐다. 이게 바로 DNS이다. 

 

사용자가 문자로된 도메인을 DNS로 보내면 IP주소를 리턴해서 사용자는 이 IP주소를 이용해서 통신하는 것.

 

 

현업에서 Route53을 많이 쓸까?


프론트 웹 페이지든 백엔드 서버든 일반적으로 도메인을 기반으로 통신한다. 여기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HTTPS 적용 때문이다. IP 주소에는 HTTPS 적용을 할 수가 없다. 도메인 주소가 있어야만 HTTPS 적용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서비스를 운영할 때 도메인을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DNS 역할을 하는 서비스는 AWS Route53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가비아, 후이즈 등에서도 도메인을 구매하고 관리할 수 있다. 

 

현업에서는 다양한 DNS 서비스를 사용한다. 서비스마다 구매 가능한 도메인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하는 도메인이 존재하는 DNS 서비스를 활용하면 된다. 

 

 

 

* 인프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